로고

이승윤

이승윤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I요약

국립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이승윤 교수는 첨단 신소재 개발 분야의 권위자입니다. 이승윤 교수는 전기화학센서, 고순도 수소 측정 기술, 그리고 칼코겐화물 기반의 투명 광전자 소자 및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피온 기반 수소센서 및 투명 컬러 태양전지, 칼코겐화물 나노복합체 필름 제조 등 다양한 핵심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교수의 연구는 미래 에너지 및 정보 저장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의 연구는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이승윤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이승윤
직책교수
이메일sy_lee@hanbat.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신소재공학과
사무실 번호0428211241
연구실기능성전자재료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lab.hanbat.ac.kr/functelectronmater
홈페이지https://lab.hanbat.ac.kr/functelectronmater/professor
소속국립한밭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한밭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2009.03 - 현재 신소재공학과 교수
회사명University of North Texas
재직기간-
담당업무2014.08 -2015.08 Visiting Scholar
회사명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재직기간-
담당업무1999.09 - 2009.02 선임연구원
회사명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재직기간-
담당업무2003.11 - 2004.11 KOSEF Post-doctoral Fellowship
회사명Technical University of Berlin
재직기간-
담당업무1998.07 - 1998.08 DAAD Short Term Grant

중요 키워드

#광전자소자#박막#투명소자#신소재공학#레이저접합#센서기술#미세조직#나노복합소재#상변화소자#페로브스카이트#재료전자물성#에너지소재#수소센서#칼코겐화물#태양전지

연구 분야

연구 1차세대 신소재 및 박막 공정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이 될 차세대 신소재 개발과 이를 활용한 정밀 박막 공정 기술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칼코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나노복합소재 등 기능성 신소재의 합성과 물리화학적 특성 제어를 통해 고성능 전자 및 광전자 소자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재료 설계부터 박막 증착(스퍼터링, 스핀코팅 등) 및 미세구조 분석에 이르는 전 과정을 아우르는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GeTe와 같은 상변화 물질의 구조적 안정성 및 광학적 특성 제어에 대한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나노복합체 필름의 광학적 특성 및 색상 조절 기술, 그리고 비전도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상변화 소자 성능 향상 연구를 통해 소재의 기능성과 응용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공정 기술을 응용하여 나노입자가 분산된 복합 신소재의 미세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고밀도 정보 저장 장치, 광센서 등 다양한 첨단 전자 기기의 성능 향상에 필수적인 핵심 요소로 작용하며, 국내외 관련 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소재 솔루션을 제시하며, 미래 전자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연구 2고효율 광전자 소자 및 에너지 변환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고효율 광전자 소자 및 혁신적인 에너지 변환 기술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과 투명성을 확보한 광전자 소자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투명 컬러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비정질 실리콘 이종접합 태양전지 등 기존 태양전지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구조와 소재를 탐구하며 에너지 변환 효율 극대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파장선택 다층구조 설계 기술을 통해 투명도와 함께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건물의 창호나 차량용 선루프 등 다양한 건축 및 모빌리티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도심형 태양광 발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칼코겐화물 박막을 활용한 상변화 소자는 광전 변환 효율뿐만 아니라 정보 저장 및 처리 분야에서도 잠재력을 가집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원의 다변화를 촉진하며, 미래 사회의 에너지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대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 3고성능 수소 센서 및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내용본 연구실은 수소 경제 시대를 대비하여 고성능 수소 센서 개발 및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성 향상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화학 센서 기반의 고순도 수소 측정 기술은 연료전지 자동차 및 수소 생산 공정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극저온 환경에서의 수소 거동 연구를 포함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정확하게 수소 농도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나피온(Nafion)과 같은 프로톤 전도체를 활용한 수소 센서의 감도 및 선택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막 전극 접합체(MEA)의 Hot Press 공정 최적화를 통해 센서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고, 고습도 재순환 수소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수소 생산, 운송, 저장 및 활용 전반에 걸쳐 안전 관리와 효율 증대에 기여합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기술공유대학'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수소연료전지 분야의 인재 양성 및 기술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며, 지역 내 수소 기반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대외 활동] -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기술공유대학' 충청권 컨소시엄 참여: 대전시, 충남도 등 5개 광역·기초자치단체와 한밭대, 국립공주대, 충남대 등 충청권 7개 대학, 2개 지역혁신기관, 그리고 에프씨아이 등 대전 지역 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 한국화학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수소연료전지 기술 연구·개발 및 관련 분야 인재 양성에 기여 [기술이전/기술지도] - 수소연료전지 소재혁신 전문 인재 양성 및 연료전지 성능개선과 상용화에 기여, 지역 내 수소연료전지 기반 분산에너지 활성화의 한 축을 담당

학력

학력 사항-1999.08 KAIST 공학박사 (재료공학) -1996.02 KAIST 공학석사 (재료공학) -1994.02 KAIST 공학사 (재료공학)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