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민
정승민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휴직·퇴직 중인 연구자인 경우 연구협력 요청이 제한됩니다.
AI요약
국립한밭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정승민 부교수는 신재생에너지 및 전력 시스템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머신러닝, AI,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풍력발전단지의 효율적인 운영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다양한 과제를 이끌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머신러닝 기반 풍력발전단지 출력제한 및 최적 운영 기술 개발, Full 디지털변전소 트윈시스템 구축, KSTAR 핵융합로 전력계통 모델링, 신뢰도 및 비용분석 기반 전원Mix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등이 있습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디지털 트윈 시스템 및 운영 플랫폼 개발을 통해 미래 전력망의 지능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정승민 부교수의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통합 및 전력품질 향상에 기여하며,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최적 용량 산정 특허를 보유하는 등 실용적인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복잡한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를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정승민 |
직책 | 부교수 |
이메일 | seungminj@hanbat.ac.kr |
재직 상태 | 퇴직 |
소속 | 국립한밭대학교 |
부서 학과 | 전기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428211096 |
연구실 | 전력망융합에너지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gridfel/home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gridfel/professor |
경력정보
회사명 | 고려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
재직기간 | 2016.09.01 ~ 2017.02.28 |
담당업무 | - |
회사명 | 고려대학교 (BK21) |
재직기간 | 2017.03.01 ~ 2017.03.31 |
담당업무 | - |
회사명 | 국립한밭대학교 |
재직기간 | 2017.03.01 ~ |
담당업무 | 부교수 미래 전력시스템 기반 기술 연구 및 국내 산업계 프로젝트 수행. 기초이론, 시뮬레이션 모델링, 전력데이터 응용 실험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 제어 방식 개발 및 기술 발전에 기여 |
중요 키워드
#태양광발전#머신러닝#기술사업화#ESS#디지털트윈#전력계통#풍력발전#HILs#전력품질#그리드포밍#무효전력제어#에너지효율#디지털변전소#신재생에너지#핵융합로
대외활동
활동 내용 | [수상] - 2022년 'IPST 학술상' 선정 - 2023년 '젊은 연구자 학술대상' 선정 [기타 활동] - 한국연구재단 Global Ph.D. Fellowship 프로그램 선정 - 미국 UCSD의 Qualcomm Institute와 협업 진행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신재생에너지 전력계통, 디지털 트윈, 머신러닝 기반 전력 시스템 세부 분야: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력품질 해석, 그리드포밍, 디지털 변전소, 핵융합로 전력계통, 무효전력 제어 [대표 연구 내용] 신재생에너지의 불확실한 출력과 변동성으로 인한 전력계통 불안정성 및 효율 저하 문제, 그리고 대규모 전력계통의 안정적인 운영 및 전력품질 유지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를 통해 머신러닝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 용량 산정 방법을 개발하여 신재생에너지 제어의 최적화를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HILs(Hardware-in-the-loop simulation) 및 무효전력 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대규모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검증 및 제어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개발된 기술은 신재생에너지 연계 효율을 극대화하고 전력품질을 향상시켜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입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의 최적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국내 산업계의 주요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에너지 효율 증대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2016)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2012)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학사 (2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