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박정호

박정호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AI요약

박정호 교수님은 화학생명공학 분야의 전문가로서, 피부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 및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종 당화 산물 억제, 노화세포 제거, 염증 개선 기술을 통해 혁신적인 피부 솔루션을 제공하며, 콜린분해 효소 저해 및 항산화 천연물 유도체 합성을 통해 퇴행성 질환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박 교수님은 다양한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의약품 합성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며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박정호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박정호
직책교수
이메일jhpark@hanbat.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화학생명공학과
사무실 번호0428211548
연구실유기분자연구실 (Organic Material Lab)
연구실 홈페이지https://lab.hanbat.ac.kr/orglab
홈페이지https://lab.hanbat.ac.kr/orglab/professor
소속국립한밭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한밭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화학생명공학과 교수
회사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직기간-
담당업무책임연구원
회사명HD현대중공업
재직기간-
담당업무프로세스 엔지니어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바이오소재#기능성식품#화장품소재#신약개발#천연물#퇴행성질환#유기합성#항염증#알츠하이머#항산화제#콜린분해효소#항노화

연구 분야

연구 1퇴행성 질환 및 신약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알츠하이머병, 암 등 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신약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콜린분해 효소 저해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항산화 천연물 유도체 합성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의 근본 원인을 표적하는 치료제 개발에 주력합니다. 리포익산-헤테로사이클 싸이오아세탈 화합물, o-치환된 호노키올 유도체, 2-아민 치환 1,4-나프토퀴논 화합물 등 다양한 신규 유기 화합물 합성을 통해 퇴행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또한, Hedgehog 신호 억제 항암제 개발, 식물유래 기능성 천연약물의 PPI(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표적 신약 개발, 혈소판단백질 표면수식 항암제 나노입자 개발 등을 통해 독창적인 치료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난치성 폐암 면역치료제 바이오마커 발굴, C형 간염 치료제 개발 등 광범위한 질환 영역으로 확장되어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 2기능성 바이오소재 및 화장품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피부 항노화, 미백, 주름 개선 등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과 바이오소재 기반의 치료제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종 당화 산물(AGEs) 억제, 노화세포 제거, 염증 개선 기술을 통해 혁신적인 피부 과학 솔루션을 제공하며, 자연 유래 성분의 잠재력을 활용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직산, 트립타민 아자이드, 시아누르산, 레조르시놀 유도체 등 다양한 천연물 및 유기 화합물을 기반으로 항산화, 미백, 항염증, 항노화 효능을 지닌 화장품 조성물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또한, 알로에 농축액과 옥돔단백질펩타이드를 활용한 마스크 시트, BB크림, 미스트, 비타민 B2 함유 쌀 부산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 금녹차 기반 탄력 화장품 등 실질적인 제품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장관 감염 치료용 live biotherapeutics, 귀리 β-glucan의 생리활성 극대화, 오미자엑스 활용 항비만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독자적인 기술력과 특허를 통해 고부가가치 기능성 제품으로 상용화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삶의 질 향상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3정밀 유기합성 및 화학 공정 최적화
내용본 연구실은 고부가가치 유기 화합물 및 기능성 소재의 정밀 합성, 그리고 효율적인 화학 공정 개발 및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기 합성의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선진 기술을 제공하며,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MRI 조영제의 핵심 중간체인 CYCLEN의 효율적인 생산, 신규 리간드 연구 개발, Polyphenol 유도체 변형을 통한 항산화제 개발 등 복잡한 유기 분자 합성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속 나노잉크를 이용한 DNA chip용 기판 패터닝 기술, 금속산화물(ZrO₂, CeO₂) 나노분말 대량 합성 기술, 차세대 이차전지용 고성능 합금계 음극 소재 개발 등 첨단 소재 합성 및 응용 분야에서도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환경 공정 분야에서는 초기 우수 재이용을 위한 플라즈마 살균/정화 시스템, 비접촉식 플라즈마 수중 방전을 이용한 색도 및 난분해성 물질 제거, 생물막 억제제 주입을 통한 포기조 산기관 오염 방지, 탈질촉매 재생 기술 개발 등 지속 가능한 화학 공정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밀 유기합성 및 화학 공정 최적화 기술은 고기능성 바이오 소재, 에너지 저장 장치, 환경 정화 기술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기술 이전을 통해 산업적 가치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기술 자문/이전] - 다수의 기업에 기술 이전을 성공적으로 지원 [수상 내역] 1991.11: 제2회 교원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동상, 한밭대학교 2011.01: 국비장학생 선정, 교육부

학력

학력 사항KAIST 생명화학공학 박사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KA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