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윤창민

윤창민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휴직·퇴직 중인 연구자인 경우 연구협력 요청이 제한됩니다.

AI요약

국립한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윤창민 부교수님은 첨단 기능성 소재 개발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교수님은 특히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인 라이다(LiDAR) 센서 인식률을 높이는 고기능성 흑색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계십니다. 근적외선 반사율을 극대화한 독자적인 나노소재 기술을 통해 도로 환경 인지 능력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효율 향상 기술, 친환경 연료 개발 등 미래 모빌리티 및 에너지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다수의 특허 등록 및 과제 수행으로 이어져 학계와 산업계에 실제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윤창민 교수님의 연구를 통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미래 기술 구현에 대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윤창민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윤창민
직책부교수
이메일cmyoon4321@inha.ac.kr
재직 상태퇴직
부서 학과화학생명공학과
사무실 번호-
연구실첨단 반도체 패키징 및 고분자 재료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view/apml-inha
홈페이지-
소속국립한밭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국립한밭대학교
재직기간2023.10.01 ~
담당업무고분자공학과 부교수로서 첨단 반도체 패키징 및 고분자 재료 분야 연구 주도 및 교육 활동 수행
회사명삼성전자
재직기간-
담당업무반도체 부문 TSP(Test & System Package) 총괄 책임 엔지니어로서 반도체 패키징 관련 기술 개발 및 관리

중요 키워드

#흑색 소재#자율주행 소재#슈퍼커패시터#전극 소재#유무기 소재#반도체 패키징#근적외선 반사#폐기물 재활용#라이다 센서#하이브리드 본딩#신소재#나노재료#탄소나노시트#열관리#에너지 저장

연구 분야

연구 1자율주행 인지 강화를 위한 흑색 소재 및 라이다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자율주행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라이다(LiDAR) 센서의 인지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첨단 흑색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흑색 물체가 근적외선(NIR)을 흡수하여 라이다 센서에 잘 감지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근적외선 반사율을 가지는 특수 흑색 나노입자 및 중공 구조체 설계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도로 환경에서 자율주행차량이 주변 사물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티타늄 산화물 층을 포함하는 라이다 인지형 흑색 나노입자 개발, 색상층과 반사층을 일체화한 구조 설계, 그리고 이를 활용한 친환경/친수성 흑색 도료 및 코팅 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특히, "Designing Black Yet Highly LiDAR-detectable Double-shell Hollow Nanoparticles"와 같은 대표 논문과 관련 특허(예: "높은 근적외선 반사율을 가지는 중공 구조체", "라이다 인지형 흑색 나노입자")를 통해 그 독창성과 기술적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미래 모빌리티 시대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을 제공하며, 관련 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를 목표로 합니다.
연구 2첨단 반도체 패키징 및 고신뢰성 하이브리드 본딩
내용본 연구실은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핵심 경쟁력인 첨단 패키징 기술, 특히 고신뢰성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고성능 컴퓨팅 등 고집적,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필수적인 3D 패키징 및 이종접합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무전해 금속 도금 및 실란 화학물 연속 처리를 이용한 저온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개발입니다. 이는 미세 피치(sub-micrometer-pitch) 구리 상호연결을 위한 초박형 금속층 선택적 증착 전략과 유전체층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실란 처리 효과 분석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본딩 공정 온도를 낮추고 접합 강도 및 신뢰성을 극대화하여 반도체 소자의 성능과 수명 향상에 기여합니다. "Enhanced Cu/SiO2 Hybrid Bonding Performance Using Selective Silane Treatment"와 같은 대표 연구 성과는 이러한 기술적 우수성을 보여주며, "A Selective Deposition Strategy of Ultrathin Metal Layer on Sub-Micrometer-Pitch Cu Interconnection for Low Temperature Hybrid Bonding"과 같은 연구를 통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본 연구는 3D 나노융합소자 및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 분야의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미래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협력 기회를 모색합니다.
연구 3친환경 에너지 저장 및 스마트 기능성 재료
내용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고효율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환경 친화적인 스마트 기능성 재료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슈퍼커패시터 및 리튬이온 커패시터와 같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전극 소재 및 나노 재료 기술을 연구합니다. 주요 연구 내용은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다공성 탄소나노시트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대칭형 슈퍼커패시터 전극 성능 향상, 수소차의 변동 부하 조절용 리튬이온 커패시터 개발 등이 있습니다. 또한, 폐기물 재활용을 통한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열담배 폐기물(Heated Tobacco Waste)을 활용한 유연한 전고체 비대칭 슈퍼커패시터 장치 제작과 같은 친환경적인 접근 방식을 탐구합니다. 이는 자원 순환 및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는 바가 큽니다. "Polyaniline-Coated Mesoporous Carbon Nanosheets with Fast Capacitive Energy Storage" 및 "High Performance Asymmetric Supercapacitor Twisted from Carbon Fiber/MnO2 and Carbon Fiber/MoO3"와 같은 논문들은 연구실의 전문성을 잘 보여줍니다. 나아가, 전기차의 전비 및 배터리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는 고기능성 나노첨가제 개발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 분야는 에너지 효율 증대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기술을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강의/교육 활동] - 한국기술교육대 온라인 반도체패키지개론 강의 - 나노종합기술원 나노전문인력양성사업 강의 및 면접위원 - 삼성전자 TSP총괄 신입사원 직무기초교육 강의 - 경기도 평생학습포털 'GEEKS' 진로직업 시리즈 '반도체 직업의 세계' 출연 [대외 자문/협력] - 대전시 협의체 자문위원 - 삼성전자 AVP 사업부 소재기술팀 ESG 경영 세미나 진행 - VINATech (비나텍) 및 Xentech (젠텍) 등 산업체 협력 - 충남대학교, 인하대학교, 한국화학연구원, 건국대학교 등 연구기관 협력 [미디어 활동] - KBS1 라디오 "성기영의 경제쇼" 출연 - 유튜브 채널 "경제 원탑" 인터뷰 - 유튜브 채널 "반도체 후공정 연구실" 운영 (수익 기부) -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신과대화" 및 라이브 출연 - SBS Biz "용감한 토크쇼 직설" 패널 출연 [수상 내역] - 미원상사신진과학자상 수상 - 국립한밭대학교 교육부문 우수교수상 수상 (2023년) - 한밭대학교 우수교수상(공로 분야) 수상 (2022년) -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심화과정 지도교수 및 우수지도교수상 수상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