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국립한밭대학교 지능미디어공학과 최해철 교수님은 차세대 영상 처리 및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비전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교수님은 Versatile Video Coding(VVC), HEVC 등 최신 비디오 부호화 기술과 UHD 영상 처리, 3차원 공간 미디어 규격화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계십니다. 또한, 딥러닝 기반 드론 탐지 및 무인비행체 추적 알고리즘 개발, 스마트 센서 및 AR/VR 스트리밍 플랫폼 기술 개발 등 실용적인 AI 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교수님의 연구는 미래 미디어 기술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최해철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choihc@hanbat.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지능미디어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428211149 |
| 연구실 | Visual Media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lab.hanbat.ac.kr/media |
| 홈페이지 | https://lab.hanbat.ac.kr/media/professor |
| 소속 | 국립한밭대학교 |
| 회사명 | 국립한밭대학교 |
| 재직기간 | 2010.03.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지능미디어공학과 교수 재직 중. 비디오 부호화, 컴퓨터 비전, 딥러닝, 영상 압축, 국제 표준 분야에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기계를 위한 특징 부호화 기술(FCVCM)' 개발을 통해 관련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국립전파연구원 |
| 재직기간 | 2020.06.01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정보통신표준 전문위원회(JTC 1/SC 29) 위원으로 활동하며 정보통신 표준화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 회사명 | 대전광역시 정보화위원회 |
| 재직기간 | 2022.05.01 ~ 2024.05.31 |
| 담당업무 | 대전광역시 정보화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지역 정보화 정책 수립에 기여했습니다. |
| 회사명 | MPEG뉴미디어포럼 |
| 재직기간 | 2016.01.01 ~ 2023.12.31 |
| 담당업무 | MPEG뉴미디어포럼 사무총장으로 국제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고 기술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 회사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 재직기간 | 2004.01.01 ~ 2010.12.31 |
| 담당업무 | 방송미디어연구부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관련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
| 연구 1 |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및 국제 표준 기술 |
| 내용 | 최해철 교수는 H.264, HEVC, VVC(Versatile Video Coding) 등 차세대 비디오 부호화 기술 개발 및 국제 표준화 활동에 선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MPEG 국제 표준화 회의에서 '기계를 위한 특징 부호화 기술(FCVCM)'을 제안하여 세계 1위를 달성하는 등 기술 주도력을 입증했습니다. 이 연구는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 효율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고품질 영상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을 다룹니다. 또한, 영상 압축 효율 향상을 위한 화면 내 부호화 모드 결정 방법, 미러링 기반 부호화/복호화 방법 등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Versatile Video Coding 기반의 인코더 고속화 기술 연구를 통해 실제 산업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UHD, 8K 이상의 초고해상도 영상 콘텐츠 전송, AR/VR 환경에서의 실감 미디어 구현에 필수적이며, 글로벌 미디어 기술 표준을 선도하는 데 기여합니다. 연구실은 MPEG 뉴미디어 포럼 사무총장직 수행 및 JTC 1/SC 29 위원 활동을 통해 국제 표준화 동향을 파악하고 차세대 미디어 기술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효율적인 비디오 코덱 기술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대역폭 절감 및 저장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
| 연구 2 | 딥러닝 기반 컴퓨터 비전 및 영상 분석 |
| 내용 | 최해철 교수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컴퓨터 비전 및 영상 분석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드론 인식 및 무인비행체 추적 알고리즘 개발, 수풀 지역 은폐 군인 탐지 학습을 위한 EO 및 IR 데이터셋 제작 등 국방 및 보안 분야의 핵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또한, 위성 영상의 탐지 및 분할 성능 향상을 위한 초해상화 방법, 데이터 제약 환경에서의 앙상블 기반 위성 영상 초해상화 기술 개발을 통해 저해상도 위성 영상의 화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세부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영상 압축, 화질 평가, 신호 처리 기술과 융합되어 실시간 객체 탐지, 분할, 추적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입니다. 연구실은 머신 비전 임무 간 유사성 분석 및 전이 가능한 영상 특성 결합 방법 연구를 통해 다양한 환경 변화에도 강인한 영상 분석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기술들은 스마트 감시 시스템, 자율주행, 정밀 농업(인도네시아 스마트농업 전문인력양성사업 참여) 등 폭넓은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실제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
| 연구 3 | 실감 미디어 및 AR/VR 스트리밍 플랫폼 기술 |
| 내용 | 본 연구 분야는 AR/VR(증강/가상현실) 환경에서 실감 나는 미디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집중합니다. 특히,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 데이터의 효율적인 처리 및 스트리밍 기술은 최해철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적응형 뷰어 중심 포인트 클라우드 AR/VR 스트리밍 플랫폼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대규모 3D 공간 데이터를 사용자 시점에 맞춰 최적화하여 전송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대역폭 부담을 줄이면서도 고품질의 AR/VR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초실감 테라미디어를 위한 AV부호화 및 LF미디어 원천기술 개발'과 같이 미래 미디어 기술을 선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D 영상 산업 인력 양성을 위한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및 자유 시점 비디오 재현 기술 연구는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한 실감 미디어 콘텐츠 제작 및 소비 기술의 기반을 마련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메타버스, 스마트 팩토리, 원격 협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차세대 실감 미디어 시장을 개척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 활동 내용 | [표준화 및 국제 협력 활동] - 독일 하노버 제144차 MPEG 표준화 회의 참가 - '기계를 위한 특징 부호화 기술(FCVCM)' 기술 제안 요청 평가에서 세계 1위 달성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의 공동 연구 진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지원 연구개발사업 참여 |
| 학력 사항 |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1999) 공학석사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1997) 공학사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1993)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